크리드(KReaD) 사용법 안내

분석하고 싶은 글을 붙여 넣고 클릭 한 번이면 AI가 분석해 줍니다.

크리드(KReaD) 사용법 안내

01글 입력

글 입력
  1. 1난이도를 알고 싶은 글을 직접 타이핑하거나 복사하여 붙여 넣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.
   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최소 3문장 이상 권장하며 최대 책 한 권 분량까지 가능합니다.
  2. 2여러 가지 예문을 선택해서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.
  3. 3분석하기 클릭

02지수 확인

글 입력
  1. 1 우리나라 연령으로 8세 수준은 800대, 9세 수준은 900대 지수를 나타냅니다.
    1100대라면 11세 수준에 적당한 글임을 알 수 있어요
    • 해독영유아수준

      Grade 0
      0-700

    • 입문독해초등1~2 수준

      Grade 1~2
      800-990

    • 기초기능초등3~4 수준

      Grade 3~4
      1000-1190

    • 기초독해초등5~6 수준

      Grade 5~6
      1200-1390

    • 고급독해중1~2 수준

      Grade M1-2
      1400-1590

    • 전략독해중3~고1 수준

      Grade M3-H1
      1600-1790

    • 독립독해고2 ~ 고3수준

      Grade H2-H3
      1800-2000

  2. 2 문학에 가까운 글인지 비문학에 가까운 글인지를 나타냅니다.

    문학: 문학성 정도(동화, 소설 등 문학)
    비문학: 비문학성 정도 (설명문, 논설문 등 비문학)

  3. 3 어려운 단어, 단문과 복문, 어휘 다양성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.

    어려운 단어 비율: 전체 단어 중 어려운 비율
    단문 비율: 단문(주어+서술어 구성 하나)의 비율
    복문 비율: 복문(주어+서술어 구성 하나 이상) 비율
    어휘 다양성: 다양한 단어 사용 비율

  4. 4 문장이 평균 몇 개의 어절로 이루어져 있는지, 다양한 조사와 어미를 사용했는지, 얼마나 다양한 화제와 개념이 등장하는지 나타냅니다.

    평균 문장 길이: 한 문장이 평균 몇 개 어절로 이루어져 있는가
    문장 구조 점수: 얼마나 다양한 조사와 어미를 사용했는가
    명사/서술어 비율: 얼마나 다양한 화제와 개념이 등장하는가

  5. 5 어떤 단어가 자주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.

    고빈도 어휘: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비율에 따라 시각화하여 나타냄

  6. 6 다시 분석하기

    다른 내용의 글을 분석합니다.